-
COVID-19 ( 7 -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))데이터 분석/코로나19 2021. 2. 17. 09:53
이전에는 서울시 코로나 확진자 수와 누적 확진자 수를 구해 시각화해보는 과정을 수행했습니다. 이번에는 그럼 서울 어떤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코로나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후 지도 시각화를 이용하여 보기 쉽게 나타내보겠습니다.
1. 서울 지역의 코로나 확진자 파악
- 서울시에서 발생한 코로나 확진자 데이터를 불러와 구별로 데이터를 나누어본 결과 특정 지역에서만 발생한 것이 아닌 서울 전 지역에서 감염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2. 지도 시각화를 위해 구별 위도, 경도 데이터 불러오기
- 구별 확진자 수를 알 수 있도록 지도 시각화를 하기 위해서는 각 구별 위도, 경도값이 필요하기에 해당 데이터를 불러왔습니다. 이에 전처리과정을 거쳐 확진자 수 데이터와 결합하였습니다.
- 위도, 경도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였을 때 서울의 모습과 유사하게 점이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folium.Map을 사용하여서 서울 전역에 대한 지도를 불러왔으며 위에서 구한 위,경도 값을 이용해 마커를 사용해 점을 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흑백의 배경으로 인해 구별 구분이 힘든점을 고려하여 새롭게 불러와 구별로 구분하기 쉬우며 구별 색상에 따라 확진자수의 색상지정을 통해 어떤 구별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구별로 구분된 서울에 위에서 구한 위, 경도값을 더해주어 해당 구를 나타내주는 마커를 표시하였으며 우측 상단에 상태바를 통해 확진자 수에 따른 색상을 지정하여 지도에서 어떤 구역에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였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구별로 지정된 마커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구별로 발생한 확진자 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였습니다. 시각화 결과 강서구, 송파구, 관악구, 강남구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=> 이번에는 지도 시각화할 수 있는 folium 이라는 기능을 이용해 서울 지역의 지도를 가져와 해당 구별로 코로나 확진자 수를 나타낼 수 있도록 데이터를 통해 확인해보았습니다. 또한 구별로 확진자 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어떤 구에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 시각화를 만들어보았습니다.이런 과정에 대한 모든 코드는 제 깃허브 주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깃허브 주소 : https://github.com/jeonprize/KBO-Analysis
jeonprize/KBO-Analysis
Contribute to jeonprize/KBO-Analysi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'데이터 분석 > 코로나19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VID-19 ( 7 - 분석 및 검증) (0) 2021.02.11 COVID-19 ( 5 - 분석 및 검증) (0) 2021.02.08 COVID-19 ( 4 - 데이터 전처리 ) (0) 2021.02.06 COVID-19 ( 3 - 데이터 전처리 ) (0) 2021.02.06 COVID-19 ( 2 - 데이터 크롤링 ) (0) 2021.02.06